거시경제(macro-economics)는 경제의 전체적인 모습을 다룹니다. 이는 개별 기업이나 가계의 경제 활동을 다루는 미시경제(microeconomics)와 대비되며, 거시경제는 국가나 전 세계 경제의 전반적인 흐름과 구조를 분석하며,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실업, 국제 무역 및 금융 시장과 같은 다양한 경제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거시경제학의 주요 목표는 경제의 건전한 성장을 유지하고, 높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와 중앙은행은 다양한 경제 정책을 사용합니다.
1.경제 성장(GDP 성장률): 국내총생산(GDP)의 성장률은 한 국가의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한 국가의 GDP가 전년 대비 3% 증가했다면, 그 국가의 경제는 성장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2.인플레이션(Inflation): 물가 수준의 일반적인 상승을 의미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동일한 금액으로 더 적은 양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율이 2%라면, 평균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2% 상승한 것입니다.
3.실업률(Unemployment Rate): 경제 내에서 일자리를 찾고 있지만 일을 하지 않는 노동력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실업률이 5%라면, 노동력의 5%가 일자리를 찾고 있지만 일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 재정 정책(Fiscal Policy): 정부의 지출과 세금 정책을 통해 경제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경기가 침체될 때, 정부는 지출을 늘리거나 세금을 줄여 경제 활동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5.통화 정책(Monetary Policy):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거나 기준금리를 조정함으로써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경제가 과열되어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때,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경제를 냉각시킬 수 있습니다.
거시경제는 이러한 개념들을 통해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분석하고, 경제 정책을 설계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기본적으로 알아두시길 바랍니다.
전쟁과 주식시장 (53) | 2024.04.16 |
---|---|
주린이 용어 해설 : 배당금? (31) | 2024.04.14 |
경제기초 : 미시경제 (3) | 2024.04.11 |
물가지표 - CPI vs PCE (1) | 2024.04.09 |
주린이를 위한 용어 해설 : ETF? (1) | 202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