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 가벼운 직장인들의 간단한 점심 식사 하면 생각나는 메뉴, 김밥입니다. 그런데 요즘 김밥 가격이 심상치 않습니다. 서울 대부분의 김밥집들이 한줄에 4500원 정도, 조금 특별한 재료가 들어가면 한줄에 8000원을 넘는 곳들도 많습니다. 안 오른 게 없다고는 하지만 서민 음식 김밥이 이렇게 많이 오르다니 놀랄 일입니다. 김밥 가격이 이렇게 오른 이유는 바로 '김' 가격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작년부터 틱톡 등 SNS에서 트레이더조스(Trader Joe's)의 냉동김밥이 건강한 간편식으로 미국에서 이름을 알리게 된 탓도 큽니다. 김이야 원래 수출을 많이 하는 효자 상품이었지만, 주로 일본이나 중국 등 해조류를 자주 섭취하는 아시아 국가들의 관광 기념상품 등으로 팔려왔던 것이지 미국이나 유럽권에 인기 있는 상품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한식의 세계화가 계속되고 건강식을 찾는 서양국가들이 많아지면서 이제 김도 없어서 못 파는 상품이 된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김 수출현황과 가격 전망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 투자 전략도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한국의 김은 세계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최근 김의 수출량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김은 '검은 반도체’로 불리며, 미국, 중국 등을 향한 해외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수산식품 최초로 수출 1조 원을 돌파한 한국 김의 인기가 식을 줄 모르고 있습니다. 김의 수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히, 한국산 냉동김밥이 '웰빙식’으로 인지도가 높아져 미국 대형 식료품 체인 트레이더 조스 (Trader Joe’s)에서 품귀 현상이 벌어진 등 인지도가 높아진 덕분입니다.
김 관련 주식으로는 다음 기업들이 주목할 만합니다:
김 가격은 현재 상황이 계속되면 오는 11~12월 김 생산이 본격화한 이후에야 가격이 잡힐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 도매가격이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말까지 1만원대를 넘나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지난해 평균 도매가격의 2배에 달하는 수준입니다. 김(seaweed)은 미래에도 높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 투자자들은 김 관련 주식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땡큐 임영웅! '광동제약'의 전망은 어떨까? (17) | 2024.05.19 |
---|---|
중국인의 두리안 사랑이 우리나라의 커피값에..... (42) | 2024.05.17 |
인도, 일본을 제치고 세계 경제 4위에 오를 전망! (58) | 2024.05.08 |
워런 버핏의 단짝, 찰리멍거의 투자 철학 살펴보기 (48) | 2024.05.06 |
미국기준금리 : 6연속 동결 (51) | 2024.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