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린이를 위한 용어 해설 : 증거금, 예수금, 미수금, 반대매매

투자기초

by 꼬마곰곰 2024. 4. 2. 08:40

본문

728x90

 

주식 투자를 시작하려고 하는 당신, 
1주 시장가 주문을 누르자마자 뜨는 팝업 " 증거금이 부족합니다." 
계좌에 분명 돈을 넣은 것 같은데 증거금은 또 무엇일까요? 도통 알 수 없는 용어들에 주식 투자 시작을 포기하게 되는데요,
제가 주식투자를 처음 시작했을 때 알 수 없는 용어들에 머리가 아파서 열심히 찾아보면서 하나씩 배워나갔던 기억이 납니다. 

 

가장 익숙하고 많이들 구매하시는 주식 삼성전자인데요, 
삼성전자 밑에 종합점수 99 옆, 증 30 | 담 140 | 신 10억이라고 되어있는게 보이실텐데 이게 무슨 뜻일까요? 

증30은 증거금비율이 30%라는 의미입니다!
담 140 신 10억은 담보비율 140%, 신용으로 10억까지 거래가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이제 하나씩 용어의 해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증거금 (Margin): 증거금은 주식 거래에 있어서 계약금입니다. 보유금액 (예수금)보다 더 많은 금액을 증거금율에 따라 주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만원짜리 삼성전자 주식을 사고 싶은데, 이 종목의 증거금율이 50%라면, 예수금이 절반인 5만원만 있어도 주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식을 양도받은 후 2일 뒤에 남은 예수금을 충당해야 합니다. 

  2. 예수금 (Deposit): 예수금은 증권사 계좌에 입금된 금액 중 매매결제대금으로 사용되지 않은 현금을 의미합니다. 이 현금은 주식 거래를 할 때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인출할 수 있습니다. 예수금은 주식 거래의 유연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3. 미수금 (Accounts receivable-nontrade): 미수금은 주식 거래에 있어 외상금 또는 대출금을 의미합니다. 증권사에서는 미수금을 빠르게 처리하려고 하며, 이로 인해 반대매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수금을 최소화하기 위해 예수금을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반대매매 (Liquidation): 미수금이 발생했을 때, 빨리 변제하지 않을 경우 증권사에서 강제로 고객의 주식을 매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매매는 미수금을 처리하기 위해 주식을 강제로 매도하게 되며, 주가 하락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다음에 더욱 유익한 용어들로 찾아오겠습니다! 

 

by BYE 

728x9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