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Q 실적 발표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실적 발표에 따라 단기적인 주가의 변동성이 커지기 때문에 투자자들에게 실적발표는 중요한 이벤트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실적이 좋았는데도,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들도 자주 발생합니다. 바로 가이던스 때문입니다. 직전 분기의 실적이 좋았다고 하더라도, 향후 기업이 목표로 하는 실적이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 하면(컨센선스를 하회하면) 주가가 떨어집니다. 특히 이는 PER가 높은 기술주에 두드러지는데요, 기술주는 대부분 '꿈을 먹고 자라는 주식'이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바로 이 실적 가이던스와 컨센서스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가이던스는 기업이 다음 분기 또는 다음 연도에 대한 실적 전망치를 직접 발표하는 것입니다. 이는 매출, 영업이익, 주당 순이익 등의 예상치를 포함합니다. 가이던스는 기업의 한 해 사업 계획 수립 여부를 보여주는 자료로 애널리스트나 투자자에게 상장사의 실적 전망을 위한 길라잡이 역할을 합니다.
보통 회사에서는 실적 발표를 한 후 이어 곧바로 가이던스를 발표합니다. 예를 들어 2022년 4분기 실적 발표 시 2023년 1분기 가이던스를 발표하거나, 2023년 1분기 실적을 발표할 때 2023년 전체연도 가이던스를 발표하는 식입니다. 회사는 가이던스를 '회사만의 방식’으로 발표하는데요. 꼭 매출과 주당순이익 (EPS)만 예측을 하는 것이 아니라 회사의 상황에 맞게 여러 지표들을 발표하게 됩니다. 회사는 법적으로 가이던스를 꼭 안 내놓아도 됩니다. 그리고 가이던스를 꼭 지켜서 운영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컨센서스는 공인된 애널리스트들의 의견을 이야기합니다. 실적의 예상치를 상회하거나 하회했다는 평가를 반영합니다. 주식 시장 참여자들은 컨센서스를 기반으로 기업의 재무 상태와 실적을 평가합니다
실적이 컨센서스를 '상회’하는지 '하회’하는지에 따라 주가가 요동치기도 합니다. 아무리 좋은 실적을 발표했다 하더라도 컨센서스라는 기대치에 맞추지 못하는 경우 주가가 하락하며, 반대로 실적이 영~ 안 좋아도 컨센서스보다 좋으면 주가는 반등할 수 있습니다. 가이던스는 투자자들의 기대치를 관리하고 신뢰성과 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주린이 용어 해설 : 우선주? 보통주? (72) | 2024.05.24 |
---|---|
주린이 기초 - 통화지표 (116) | 2024.05.23 |
엔화의 의미와 투자 활용 방법 (51) | 2024.04.30 |
고용지표의 의미와 활용 (68) | 2024.04.20 |
미국 국채 금리? (111) | 202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