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린이 용어 해설 : 공매도가 뭐에요?

투자기초

by 꼬마곰곰 2024. 5. 29. 07:00

본문

728x90

주식시장에 대해서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공매도'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을 텐데요. 
공매도라는 개념이 저에겐 생소하다보니, 제가 공부할 겸 공매도의 정의와 장단점에 대해 찾아보았습니다. 
같이 알아가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Created by COPILOT

공매도의 정의 및 해설

공매도는 글자 그대로 '없는 것을 판다’는 의미입니다. 개인이나 단체가 주식, 채권 등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매도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때 매도한 주식이나 채권은 결제일 이전에 구매해서 매입자에게 갚아야 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공매도는 내 소유가 아닌 주식을 거래소에 팔았다가 되사는 과정에서 차익을 얻는 방법입니다. 이를 위해 다른 곳에서 주식을 잠시 빌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A씨가 증권사에서 ㄱ회사의 주식 1주를 빌려왔다고 가정해봅시다. 해당 시점에 ㄱ회사 주식 1주의 주가는 1만원이었습니다. A씨는 ㄱ회사의 주식 가격이 머지않아 하락하리라고 예측하고, 증권사에서 빌린 ㄱ회사 주식을 1만원에 바로 팔아버렸습니다. 그로부터 일주일 뒤, A씨의 예상대로 ㄱ회사의 주가가 5천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증권사에 ㄱ회사 주식 1주를 갚아야 하는 A씨는 이 시기에 5천원을 주고 ㄱ회사 주식 1주를 다시 사들입니다. 그리고 매입한 주식 1주를 증권사에 돌려줍니다. A씨가 증권사에서 빌린 ㄱ회사 주식을 거래소에 팔았을 때는 1만원의 수익을 얻었는데, 시간이 지나 다시 ㄱ회사 주식을 사는 데에는 5천원밖에 쓰지 않았으니 5천원의 이윤이 남은 것입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차익을 노리는 방법이 바로 공매도입니다.

공매도의 장단점 



공매도는 일반적인 투자 방식과는 다르게 내가 빌린 주식의 가격이 떨어질수록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공매도는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서로 상반된 분석이 있으며, 주식시장의 과열과 주가 거품을 막아주는 순기능과 개인 투자자들의 부정적인 반응 사이에서 논란이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공매도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으며, 금융위원회가 일시적으로 공매도를 금지하는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공매도는 주식시장에서 특정 주식이 단기적으로 상승할 경우 매도 주문을 증가시켜 주가를 정상적인 수준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하여 주식시장의 유동성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주식 거래가 활성화되고 유통 물량이 늘어나며, 효율적인 시장 형성에 기여합니다. 또한 공매도는 상승과 하락 둘 다 배팅할 수 있어 리스크 헤지(위험 회피)의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공매도에는 몇 가지 단점도 있습니다. 물량이나 정보가 충분한 기관이나 세력은 주가 폭락을 유도하기 위해 악성 루머를 퍼트리거나 부정적인 기업보고서를 작성하기도 합니다. 또한 주가 하락을 통해 이익을 얻으려는 세력의 주가 조작 가능성이 있어 단점으로 지적됩니다.

요약하자면, 공매도는 주식시장의 유동성을 높이고 가격 안정성을 유지하는데 기여하지만, 동시에 무한 손실 가능성과 시장 조작, 투자자 불안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신중한 계획과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거래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의 공매도의 비중 

Created by COPILOT

주식시장에서 공매도의 비중은 주식의 평균 일일 거래량에 비해 얼마나 많은 주식이 공매도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비율은 주식시장에서 특정 주식이 단기적으로 상승할 경우 매도 주문을 증가시켜 주가를 정상적인 수준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하여 주식시장의 유동성을 높여주는 장점이 있습니다.

공매도의 비중은 공매도 비율이라고도 불리며, 주식시장에서 현재 공매도로 대출된 주식 수를 평균 일일 거래량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 비율은 주식이 얼마나 많이 공매도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만약 주식이 평균 거래량에 비해 많이 공매도로 거래되고 있다면, 이는 해당 주식이 상당히 많이 공매도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공매도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textbf{공매도 비율} = \frac{\text{Short Interest}}{\text{Average Daily Trading Volume}}

여기서:

  • Short Interest (SI): 시장에서 공매도로 판매된 총 주식 수
  • Average Daily Trading Volume (ADTV): 평균 일일 거래량

이 비율은 주식시장에서 특정 주식이 얼마나 많이 공매도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빠르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주식시장의 뉴스나 이벤트에 따라 거래량이 변동할 수 있으므로 실제 공매도 수량과 거래량과 함께 비교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의 Tesla 주식 차트에서는 공매도 비율, 공매도로 판매된 주식 수, 그리고 일일 평균 거래량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이 예시에서는 공매도 비율이 상승했지만, 공매도로 판매된 주식 수는 감소했습니다. 이는 해당 기간 동안 일일 평균 거래량이 크게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또한 2018년에는 공매도로 판매된 주식 수가 상승했지만, 공매도 비율은 계속해서 감소했습니다. 이는 주식의 일일 평균 거래량이 꾸준히 상승했기 때문입니다.

주의: 공매도 비율공매도는 서로 다른 개념이며, 공매도는 시장에서 판매된 총 주식 수를 측정하는 반면, 공매도 비율은 시장에서 모든 공매도 주식이 거래되기 위해 몇 일이 걸릴지를 계산하는 공식입니다.

 

 

by BYE

728x90

관련글 더보기